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구충제 복용시기, 복용법

by 개굴굴굴 2024. 12. 13.
반응형

구충제는 인체에 기생하는 장내 기생충(회충, 요충, 사상충, 편충)을 제거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이다


 

구충제는 감염 여부를 모르더라도 예방 목적으로 6개월에서 1년에 한 번 구충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한국에서는 봄, 가을 두 번 복용을 권장한다

기생충 감염은 쉽게 전파되므로 가족 구성원 또는 집단 전체가 동시에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구충제 복용해야 하는 이유
  • 감염증상
  • 구충제 종류
  • 구충제 복용 효과
  • 구충제 복용하는 방법
  • 구충제 복용 시 주의할 점

 

구충제를 복용해야 하는 이유

기생충은 제대로 씻지 않은 채소나 덜 익힌 고기, 공공장소에서 잘못된 접촉, 반려동물이나 야생동물 등

다양한 곳에서 감염될 수 있다

기생충 감염 예방과 치료를 위해 복용해야 한다

기생충 감염은 눈에 띄는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증상이기에  소홀하게 넘어갈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한다

 

감염증상

기생충 감염 증상에는 무증상이 많지만 아래의 증상도 유발할 수 있다

  • 소화불량, 복통, 설사
  • 피로감과 면역력 저하
  • 피부 가려움증(요충 감염 시 나타남)
  • 체중 감소, 영양 흡수 장애 유발

구충제 종류 

광범위 구충제

  • 알벤다졸: 광범위하게 사용 가능하며 단회에 복용으로 효과가 있다
    표적 기생충 - 회충, 요충, 편충, 구충
  • 메벤다졸: 주로 소아용으로 사용되며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다(1 ~ 2회 복용)
    표적 기생충 - 회충, 요충, 편충
  • 파란텔 파모에이트: 단회 복용으로 효과가 있으며 안정성이 높아 소아에게도 사용된다
    표적기생충 -회충, 요충

특정 기생충 치료제

  • 프라지콴텔: 조직 기생충 감염에 사용된다
    표적 기생충 - 간흡충, 폐흡충, 조충
  • 디에틸카르바마진: 사상충증 및 팔라리아증을 치료한다
    표적기생충 - 사상충
  • 이버멕틴: 조직 감염 및 기생충 및 옴 치료에도 사용된다
    표적 기생충 - 사상충, 피부 기생충

 

구충제 복용 효과

건강과 면역 상태가 개선된다

장내에 기생하는 기생충을 마비시키거나 죽게 만들어 체외로 배출시킨다

(대변을 통해 사멸된 기생충이 배출된다)

 

구충제 복용으로 아래 증상을 없앨 수 있다

  • 기생충 감염이 되면 인체는 섭취한 영양소를 기생충에게 뺏기게 된다
  • 회충이 대량으로 장 내에 쌓이면 장폐색을 일으킬 수 있다
  • 흡층류(간흡충, 폐흡충)의 경우 간이나 폐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간경변, 간암 발생 가능성 올라감)
  • 복통, 설사, 소화불량 등 기생충으로 인해 일어나는 증상

구충제 복용하는 방법

공복 복용

기생충이 활발한 활동 시간에 약물이 더 효과적으로 작용한다(제품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

정확한 복용량과 기간은 기생충 종류, 연령, 체중,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르므로

상담 후 자신에게 맞는 구충제를 먹는 것이 좋다

집단생활(학교, 보육원 등)에서는 구성원 전체가 동시에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가정에서도 가족 구성원 전체가 같이 복용하는 것이 좋다

한번 복용 후 기생충의 완전한 사멸을 위해 일주일 후 한알을 더 복용해 주는 것이 좋다

 

 

구충제 복용 시 주의할 점

기생충의 종류, 감염정도에 따라 복용주기와 약물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복용 전 의료 전문가와

상의해 보는 것이 좋다

일부 구충제는 태아나 영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임산부 및 수유부는 주의해야 하며

복용 전 의사와 꼭 상담해야 한다

소아의 경우 제품에 따라 연령제한이 있으니 약사나 의사와 상담 후 복용해야 한다

간 질환이나 신장 질환이 있는 경우 복용 전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약물에 알레르기 반응에 대해 꼭 살펴봐야 한다

 

 

 

 

 

 

 

반응형